딱딱한 거 안 먹었는데도 치아가 깨지는 이유 - 숨은 충치, 2차 우식 feat. 인접면 레진
치아가 깨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1. 힘 : 힘에 의한 파절은 치아가 쪼개지거나 조각이 떨어져 나가는 반면..(click)
2. 충치 : 충치에 의한 파절은 치아가 부스러지면서 구멍이 생긴다 (click).
2번처럼 썩어서 부서질 정도면 충치가 상당히 오랜 기간 숨어서 진행됐다는 의미고,
주로 치아사이 - 인접면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후가 좋지 못하다.
(예후가 좋지 않음 = 신경치료의 위험성이 높음)
충치로 치아가 깨질 정도면 일단 신경치료는 어느 정도 각오해야겠지만,
조금이라도 신경치료를 피하고 치료 후의 경과가 좋으려면,
아무래도 치아는 꼭 필요한 만큼만 삭제하는 게 좋다. (click)
Prologue
작년 봄, 40대 남성이 내원하셨다.
"어제 갑자기 치아가 깨졌어요. 시리거나 아프지는 않아요."
근처 직장을 다니시는데, 우리 치과 무통마취가 괜찮다는 추천을 받아서 내원하셨다고 한다.
마취에 특별히 더 신경써서 잘 봐드려야겠다.
진단 : 인접면 충치, 2차 우식, 파절
말씀하신 치아를 보는데, 앗.
깨진 부위가 부스러져 있다. 원인은 충치인듯.
눈에 잘 안 보이는 곳에서 썩다보니 발견도 어려웠을 것이고,
충치가 아주 천천히 진행되면 심하게 썩을 때까지 거의 아프지 않은 경우가 많다.
차라리 시리거나 아팠다면 일찍 치과에 올 마음을 먹었을텐데... 안 아픈 게 꼭 좋지는 않다.
파노라마에서는 신경까지 거리가 조금 있어보이기는 하고,
치조백선이 확인되어 치수는 살아있는 듯하다.
CT를 찍어보면 더 확실하겠지만,
치료 : 인레이? 레진?
교합면의 레진은 양호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부 다 제거해야 되는건 아니지만(click)
이렇게 2차우식이 생긴 경우에는, 기존의 재료를 다 제거하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인접면 - 교합면에 걸친 충치이므로, 원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삭제가 예상되는데..
충치 부위가 커서 인레이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작은 어금니라서 레진으로도 치료가 가능해 보인다.
다만, 충치가 상당히 깊을 수 있으니 신경치료의 위험성은 항상 존재...
각각의 치료 방법이 가진 장단점에 대해 설명을 드리니,
환자분께서는 조금이라도 치아를 적게 삭제하고 한 번에 끝나는 게 좋다고 하셔서,
치료 방법은 인접면 레진으로 결정하셨다.
단, 일단 충치를 제거하다가 삭제 부위가 커지면 인레이로 변경하시기로 했다.
(원래 신경을 많이 쓰기도 하지만) 무통마취를 각별히 신경써서 안 아프게 진행하고,
기다리는 동안 치료 부위를 한 번 더 확인.
이제 조심조심 충치 제거 시작.
여기서 잠시 고민. 교합면의 기존 레진을 마저 삭제할까, 말까.
이제 팔로덴트 장착 후, 인접면 레진으로 수복.
딱 손상부위만 최소삭제로 치료했다.
아직 신경치료의 위험성이 남아있으므로, 약 1주간 경과체크.
다행히 시림이나 통증이 없어서 치료가 잘 마무리 됨.
치료요약 : 충치로 인한 파절 치아, 잘 치료됨
치아사이 숨은 공간에서 충치가 조용히 진행돼서 발견이 늦었지만,
epilogue)
9개월 뒤 정기검진.
파노를 다시 찍어봤는데, 그 때 참 아슬아슬하긴 했다.
그 이후에는 치실도 잘 사용하셔서, 새로 치료 받은 인접면과 기존의 교합면 레진 모두 양호하다.9개월 뒤, 추가적인 파절이나 2차 우식 없음 |
앞으로도 꾸준히 치실로 잘 관리하시면서, 정기검진도 잊지 않으시기로 했다.
특별히 단단한 음식을 먹은 것도 아닌데, 이 케이스처럼 치아가 갑자기 깨질 수 있다.
차라리 크게 깨지면 얼른 치과에 올 생각이 드는데..
잘 안 보이가 살짝 깨져서 작은 구멍이 생기면, 잘 모르고 지내거나 치과 내원을 미루기 쉽다.
그러면 아래 케이스처럼 심각한 사태가 생길 수도 있다.
링크 : "인접면 충치가 심하다는데, 신경치료 안 받고 싶어요" feat. 치과의사도 안하고 싶습니다 |
이렇게 숨은 충치는 주로 치아의 사이 공간 - 인접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소에 치실을 잘 사용해주시는 것이 제일 중요하고,
평소랑 다르게 어딘가에 음식이 고여있는 느낌이 들거나 찝찝한 냄새가 나면
치과에 가서 확인을 받아보는 게 좋다.
이상이 있으면 빨리 발견해서 다행이고,
이상이 없으면 없어서 다행이기 때문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