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니 잇몸 뾰루지 2개, 신경치료해도 안 없어짐 feat.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잇몸에 뾰루지는 치아의 뿌리에 염증이 생겼으니, 좀 봐달라는 간절한 신호다.  

참고글 : 잇몸에 고름주머니 - 뾰루지가 생겨서 다행입니다 feat. 뿌리염증 골든타임

그래서 잇몸에 뾰루지, 고름주머니, 여드름이 생기면, 차라리 다행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내향적인 치아(I성향)는 이런 신호도 없이 병을 키워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고글 : 앞니 잇몸 누르면 아파요 - 플라즈마 신경치료 feat. 내향적인(I성향) 치아

훨씬 더 안 좋은 상태에서 발견이 되는 경우가 많고, 그래서 결과도 좋지 않다. 


잇몸에 난 뾰루지의 고마운 점은 또 한 가지가 있으니,

치료 시작 후, 치료의 경과나 재발 여부를 알려주는 고마운 척도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2년 쯤 전, 30대 남성분이 내원하셨다. 

"잇몸에 뾰루지가 생겨서 신경치료하고 크라운까지 했는데 뾰루지가 안 없어져요. 

 한달 쯤 됐어요. 

 거기서는 뼈가 튀어나온 거라고 얘기하는데, 제가 볼 땐 고름이 차 있는 거 같아요."


말씀하신 부위를 보니, 앞니 잇몸에 난 뾰루지, 고름주머니 혹은 누공이 2개나 보인다. 

눌렀을 때 말랑해서, 뼈 같지는 않았다.

신경치료를 했는데도 뾰루지가 안 없어진다면.. 

뾰루지의 원인이 신경관 내부의 세균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조금 걱정이 된다. 


엑스레이를 보니, 한 달 전 신경치료를 받았다는 치아는 #21치아(B)인 듯... 


정확한 진단을 위해 CT도 찍어본다. 


#21치아(B)를 보니, 뿌리염증이 보인다.


그런데 딱 한 시점의 CT만 가지고서는 

이 염증이 진행중인 병소인지.. 지금 치유중인 병소인지.. 확실히 알 수가 없다. 

3개월 정도 간격을 두고 CT를 찍어보면 알 수 있을 것 같긴한데..

현재의 뾰루지라는 증상과 연관되어 있으니, 진행 중인 염증으로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그리고 #11치아(A)를 보니, 비슷한 양상의 뿌리염증이 보인다. 


신경치료가 끝까지 되어있지 않고 중간까지만 되어 있는 걸로 보이는데, 

이런 치료를 펄포토미(pulpotomy)라고 한다. 

말씀을 더 나누다보니, 어릴 때 앞니를 다쳐서 양쪽 앞니 2개를 다 치료받으셨다고 하신다.  

신경관의 중간은 넓고, 끝부분은 막힌 양상.. 이건 펄포토미의 영향으로 보이는데, 

아직 시작도 안 했지만 어려움이 예상된다.. ;; (포스트도 보이고...)


CT에서 양쪽 뿌리염증의 양상이 비슷하고, 잇몸으로 나타난 증상도 비슷하고.. 

치근의 파절을 의심할만한 증거가 아직은 없으니, 발치를 결정하기는 이른 것 같다. 

다행히(?!) 잇몸에 뾰루지가 나 있으니, 

#21(B)치아의 재신경치료 후 뾰루지의 양상으로 경과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만약, 이래도 뾰루지가 안 없어진다면.. 

치근단절제술이나 재식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어떠신지... 

이런 자초지종을 환자분께 말씀드리니, 환자분도 동의하신다. 



[Case 1 - #21 (B) 먼저] 

이미 신경치료가 되어 있지만, 뿌리끝을 멸균해야 하므로 무통마취를 충분히 시행하고.. 

크라운을 벗겨 신경관에 접근한다. 


저 충전물들은 일단 다 오염이 되었다고 보고, 깨끗이 제거해야 한다. 

조심조심 뿌리끝에 접근. 

그리고 중간에 확인. 

매끈한 게 기존의 충전물, 꼬인실 같은 게 확인용 file 

아직도 저만큼이 남았네... 

무리하다가 치근에 천공이 생기면 안 되므로 첫날 치료는 차분하게 일단락 짓고, 

앞니 없이 지내실 수는 없으므로, 일단 손으로 임시치아를 만들어 끼워드리고 보내드린다. 


그리고 1주일 뒤. 

어? 왠지 잇몸 뾰루지 크기가 살짝 줄어든 것 같다. 



잇몸에 생긴 뾰루지는, 이렇게 실시간으로 치료의 경과를 알려주는 고마운 지표다. 

이에 용기를 얻어, 남은 지피콘과 충전물을 마저 제거.



넓은 신경관은 신경치료가 쉬울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만큼 오염된 신경잔사가 붙어있을 여지가 많으므로, 이건 이거대로 어렵다. 

플라즈마 멸균 - 세척 - 플라즈마 멸균 - 세척을 이어가면서 

뿌리끝 상태를 페이퍼 포인트로 확인. 

새카만 오염물질들이 신경관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뿌리끝의 깔끔함을 확인 후, 2회만에 재신경치료를 마무리한다. 



다시 1주일 뒤, #21(B)의 뾰루지는 이제 거의 다 사라졌다. 




이제는 신경치료를 위해 뚫어놓은 구멍과, 상한 부위를 레진코어로 잘 밀봉해야 한다. 

신경치료 후 근관입구의 상태는 신경치료를 진행한 술자가 제일 잘 알기 때문에.. 

최소한 이 작업까지는 신경치료를 진행한 곳에서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크라운은 이전 치과에서 다시 제작하기로 하셨다. 

제작해서 셋팅한 지 한 달도 안 된 상태라, 거기서 AS를 받으시기로. 

그래서 10일 뒤, 이제는 #11(A) 차례다. 


[Case 2 - #11 (A) 이어서] 

#11(A)치아는 #21과 염증의 양상은 비슷한데, 치료의 어려움은 조금 다르다. 

신경관 입구에는 포스트(금속으로 추정되는 기둥)이 있고, 뿌리쪽 신경관은 심하게 막혀있다. 

화살표 쪽은 신경관이 지나가는 길이 거의 안 보인다


이를 염두에 두고 #11의 크라운부터 제거하니, 모습을 보이는 금속성의 포스트(post). 


당시에는 필요해서 사용했겠지만, 재치료를 할 때는 방해가 된다. 

그래도 이 정도의 포스트는 짧고 눈에 잘 보여서 제거가 어렵지 않다. 

오른쪽이 제거된 포스트 조각 - 다시보니 그냥 코어용으로 사용한 아말감 같기도 하고...


이제 신경관의 입구는 도달했으니 내부를 멸균하고 세척해야 하는데, 

지난 번 #21(B)치아는 신경치료 후 근관내를 채웠던 오염물질의 제거가 어려웠다면, 

이 #11(A)치아는 뿌리끝의 심하게 막힌 부분이 관건이다. 

얇은 기구 끝부분으로 뿌리끝의 막힌 부분을 조심조심 더듬더듬 하다보면 

콕 찍히는 부분이 나올 때가 있다. 바늘구멍만한 신경관.  



입구를 따라 살살 들어가서, 다행히 뿌리끝까지 도달에 성공했다. 

첫날 신경 치료는 여기까지. 

마찬가지로 앞니라서, 임시치아를 만들어드리고 귀가.


1주일 뒤. (이제는 반복되는 과정이라 짧게) 

여러번의 플라즈마 조사와 초음파 세척으로 뿌리끝의 깔끔함을 확인 후, 

신경치료는 2회만에 마무리. 

저길 무리해서 확대할 필요는 없음


그리고 레진코어 후, 구강스캔을 하고... 드디어 크라운 셋팅일. 

크라운을 붙인 후, 잇몸에 나란히 생겼던 뾰루지를 보며 치료 경과를 확인. 

깔끔하게 사라진 잇몸 뾰루지 x2. 잘 나은 듯. 


이렇게 치료가 마무리 되었다. 


치료 요약 : 앞니 잇몸에 난 2개의 뾰루지, 각각 (재)신경치료 + 신경치료로 해소됨




발치 위험이 높은 심한 어금니 뿌리염증은, 

pmma 크라운 상태로 장시간 CT를 찍어보면서 경과를 봐야하는 경우가 제일 좋겠지만, 

이렇게 뾰루지가 치료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는 이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특히나 앞니처럼 눈에 잘 보이는 부위는 

뾰루지가 소멸되고, 재발이 없음을 확인하면 이렇게 일찍 치료를 마무리 짓기도 한다. 


잇몸에 뾰루지가 생겼다면 일단 큰일이 나긴 했지만, 

다행히 더 늦기 전에 치료를 받고 싶다는 치아의 간절한 외침이니, 

발견하면 늦지 않게 치과검진을 받는 것이 좋겠다. 


참고글) 심한 뿌리염증의 진단부터 치료까지 자세히 정리한 포스팅

https://www.dentalist.me/2025/03/feat_4.html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3.03.31~ 2023.05.11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치아사이 충치 - 인접면 우식, 어떻게 치료할까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

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인접면 충치, 신경치료 안 하면 안될까요? feat. 치과의사도 신경치료 안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