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 새로 교체하고 한 달만에 뜯은 이유 feat. 오래된 크라운 교체할 때 주의할 점


크라운도 소모품이다보니, 적당한 시기가 되면 교체하는 게 좋다. 

- 참고글 : 크라운에 혀만 대도 아파요 - 플라즈마 신경치료 feat. 크라운 교체시기 (click)


그런데 오래된 크라운을 교체할 때 몇 가지 주의할 점들이 있다. 

1. 뿌리염증 체크 - 가능하면 CT를 찍어서 뿌염 유무 체크하기

2. (레진)코어 체크 - 가능하면 치수강의 (레진)코어도 같이 교체하기

안 그러면 교체한 지 얼마 안 된 새 크라운을 뜯어야 할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라운을 교체한 지 불과 한 달만에 제거했던 사연을 소개한다. 


Prologue : 우연히 발견된 뿌염

인접면 충치 진단을 위해 본원을 방문하신 30대 여성분. 

진단을 위해 찍은 CT에서, 본의아니게(?) 뿌리 염증이 발견되었다. 

위쪽 어금니의 뿌리 염증이 상악동으로 진행중. 쇼생크 탈출이 진행중이다. (click)

무증상, 뿌리염증, CT 확인
한 치아를 다른 각도에서 봤을 때의 사진들

언제 치료 받으셨는지 여쭤봤다. 

"신경치료를 받은지는 아주 오래 됐고,  

  얼마 전에 크라운을 교체했어요. 1달도 안 됐는데..."

 

파노라마에서도 해당 치아의 뿌염이 어느 정도 의심되기는 하는데, 

증상없는 뿌리염증, 파노라마 사진

아마도 특별한 증상이 없다보니, 그냥 크라운만 교체하신 듯하다. 


진단 및 치료계획 : 뜯을까, 말까

뿌리염증이 발견됐다고 해서, 곧바로 치료를 하는 건 아니다. 

특히나 이렇게 신경치료를 받았던 치아라면 기존 염증이 흉터처럼 남은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 - 통증이나 잇몸의 누공이 없다면, 

4~6개월 정도 지켜보다가, 다시 CT를 찍어서 병소의 크기를 비교한 뒤에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참고글 : 뿌리염증, 하나도 안 아픈데 꼭 치료해야 되나 feat. 지켜보고 있다 (click)


이 케이스는 한 가지를 더 고려해야 하는데, 

크라운을 새로 제작한 지 한 달도 안 됐다는 점이다. 

재신경치료를 하려면 크라운을 뜯어야 하는데, 

이렇게 타원에서 재보철을 한 지 한 달도 안 된 크라운의 재치료는 아무래도 조심스럽다. 

환자 입장에서는 크라운 비용이 두 번 들어가게 되는 것 아닌가. 

크라운을 재제작한 병원에서 재신경치료를 받으시면, 비용을 감안해줄 것 같기도 한데... 


이런 여러가지 자초지종을 말씀드렸더니, 

"뿌리에 염증이 있으면, 그냥 여기서 치료 받을게요. 

 다음에 왔을 때 염증이 더 커지면 곤란하고, 언젠가는 치료를 받아야 할 거 같아요." 

결단이 빠른 환자분. (MBTI는 TJ로 추정된다.)

그렇게 다음 번 치료 예약을 하시고 가셨다. 


치료 :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재보철

일주일 뒤 예약일. 

무통 마취 후, 크라운을 살살 제거한다. (제거 전 크라운 사진이 안 보임.. ㅜㅜ)

레진 코어의 외부상태는 나쁘지 않아 보이지만, 

무증상 뿌리염증, 재신경치료, 크라운 제거


내부의 치수강에 접근하자,  내부가 새카맣게 오염되어 있다. 

얼마 전 크라운을 교체할 때, 치수강 내부의 레진코어까지는 교체하지 않은 것 같다.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수강 레진코어 오염
새캐맣게 오염된 치수강 내부의 레진코어


여기서 잠깐! 이 케이스에서도 보다시피, 

오래된 크라운의 레진코어는 겉에서는 멀쩡해 보여도 

치수강까지 들어가보면 내부가 많이 오염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래된 레진코어는, 내부까지 전부 다 깨끗이 제거하고 새로하는 게 좋다. 

(이 케이스에서는 어차피 재신경치료를 위해 레진코어를 다 뜯어야 했지만.)


재신경치료를 하면서 수많은 크라운을 뜯으면서 느낀 거지만, 

오래된 레진코어는 조금씩이라도 누수가 생길 수 밖에 없고, 이는 재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크라운을 뜯어낸 지금이, 레진코어를 교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므로 

이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게 좋다. 


조심조심 신경관 입구에 접근.. 분홍색 지피콘이 보이기 시작한다. 

재신경치료, 치수강, 오염된 지피콘


첫날은 크라운 제거하고, 치수강 정리하고, 근관입구를 찾아 정리만 해도 시간이 훌쩍 간다. 

그래서 일주일 뒤에 다시 약속을 잡는다. 


두 번째 치료일. 

뿌리끝에까지 오염된 신경관을 초음파로 깨끗이 청소하면서, 뿌리끝에 접근. 

뿌리 끝의 세균은 플라즈마를 조사해서 멸균한다. 

여러번의 세척과 멸균을 통해 근단부를 깨끗이 하고, 2회만에 재신경치료를 마무리. 

재신경치료, 근관충전, 치근단사진


다시 일주일 뒤. 

이제 오염된 치수강을 최대한 정리하고,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수강 정리, 레진코어


새로 레진코어를 채워준다. 

혹시 모를 재치료를 위해, 어금니는 파란색 레진을 사용해서 치아와 구분되게 한다.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혹시 모를 재치료가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ㅜㅜ

이제 치아를 프렙하고, 구강스캔 후 pmma 크라운을 셋팅. 

무증상 뿌리염증,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pmma 크라운


두 달 사이에 크라운을 두 번이나 하게 된 비운의 치아.. 

그래도 뿌염이 잘 낫기만 한다면야. 


이제 경과를 체크할 차례. 




시간이 흘러, 약 한 달 체크. 

빠른 결정만큼, 빠른 치유를 보여주신다. 

무증상 뿌리염증,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경과, CT

가끔씩 이렇게 빠른 치유를 보여주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click)

보통은 3달 정도 경과를 지켜봐야 어느 정도 치유 양상이 확인된다. 

CT를 보여드리면서 이 정도면 치유 단계에 들어선 것 같다고 말씀드리니, 

그럼 지르코니아 크라운도 빨리 가겠다고 하신다. 뭐든 결정이 빠르신 환자분... 


그래서 pmma 제거 후, 리모델링 된 잇몸에 맞춰 프렙을 살짝 다듬고 재스캔. 

1주일 뒤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교체하면,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유 확인, 지르코니아 크라운

증상없는 뿌리염증의 재신경치료와 크라운 재보철이 마무리 되었다.


뿌염 재발 체크를 위해, 꾸준히 정기점검을 받으셔야 한다고 했는데.. 

약 4개월 뒤에 다시 내원하셨다. 

유지장치를 꼈다 뺐다 하시다가, 크라운이 탈락하셨다고. 

그동안 불편감 전혀 없으셨고, 크라운 크기도 적당해서 매우 편했다고 하신다. 

이렇게 경과가 좋으신 분들은 솔직히 내가 더 고마운 마음이 든다. 


크라운을 재부착하면서, CT를 찍어 6개월 경과 체크. 

와... 이쯤이면 완치 판정을 내려도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잘 낫고 계신다. 

무증상 뿌리염증,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유 확인, CT


사실, 위에서도 언급하긴 했지만, 뿌리염증이 보인다고 곧바로 다 치료를 하지는 않는다. (click) 

통증이나 잇몸 누공이 있다면 얼른 치료에 들어가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4~6개월 뒤 CT를 찍어보고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빠른 치료를 원했던 환자분의 의견에 따라 빠른 재치료를 결정. 

만든 지 1달도 안 된 크라운을 뜯어야지만, 그래도 그만한 보람이 있었던 케이스였다. 


epilogue)

오래된 크라운을 교체할 때는, 몇 가지 챙길 점이 있다. 

1. CT를 찍어서 뿌리염증 유무 체크하기 

 - 크라운이 있는 치아의 뿌리염증을 치료하려면 일부러 크라운을 벗겨내야 하는데, 

 - 오래된 크라운 교체를 위해 크라운을 제거했을 때 (재)신경치료를 같이 하면, 

 - 비용과 시간과 고생 측면에서 모두 이득이다. 

 - 이 시기를 놓치면, 이번 케이스에서처럼 얼마 안 된 새 크라운을 또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2. 코어도 같이 교체하기 

 - 신경치료가 이미 되어 있는 치아라면 코어가 되어 있을텐데 (레진, 아말감, GI 등의 재료), 

 - 크라운을 교체할 때, 가능하다면 치수강을 채운 부분까지 깔끔하게 새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 코어의 오염과 누수로 재감염이 일어나면, 뿌리에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 가능하면 접착력이 우수한 레진코어로 해주는 것이 좋다. 


간혹 레진코어에 포스트까지 박혀있는 치아를 재치료 해야할 때도 있는데(click)

이것들을 싹 다 제거하면 치아의 멀쩡한 부위가 남아나지 않을 것 같은 경우도 있다. 

뿌리염증이 없다면, 일부 포스트를 남겨둔다든가... 하는 적당한 선에서 타협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전부 다 교체해주는 것이 좋긴 하다. 


p.s)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이 케이스의 환자분의 직업은 의사셨다고 한다. 

그래서 CT도 능숙하게 보시고, 진단과 치료 단계에서 결정이 빠르셨던 것 같기도 하다.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3.08.30~ 2023.11.08

pmma 경과 체크 기간 : 약 1개월

경과체크일 : 2024.03.20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치아사이 충치, 인접면 우식 - 진단에서 치료까지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

운좋게 발견된 인접면 충치, 안아픈데 치료할까 말까 feat. 인접면 레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