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염증, 언제 치료하는 게 좋을까 feat. 지켜보고 있다


치과에 가서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아래와 같은 뿌리염증이 발견되었다면, 

치료 결과는 이 글의 맨 아래 epilogue에서 확인

얼른 치료를 받아야 할까, 아니면 지켜봐도 될까? 


여러가지 상황과 변수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략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한다. 

 1. 통증이 있거나, 잇몸에 고름주머니(누공)가 생겼다면 얼른 치료를 받는 게 좋다. 

 2. 아무런 증상이 없다면, 일단은 지켜봐도 된다. 단, 꾸준한 정기점검이 필요하다. 

치료를 안 받을 거면,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꾸준히 지켜보던 뿌리염증 2개의 엇갈린 운명을 소개하려 한다. 


2022년 11월 : 뿌리 염증 발견

건장한 40대 남성의 파노라마 사진에서 두 개의 뿌리염증이 발견됐다. 

뿌리 염증, 파노라마


통증이나 불편감이 전혀 없는 상태. 

그래도 혹시 몰라 CT를 찍어보니, #12 치아는 흔한 신경치료의 흔적이 아니다. 

뿌리 염증 발견, CT로 확인

환자분께 여쭤보니, 오래 전에 신경치료 후 염증이 생겨서 치근단 수술을 받으셨다고 한다. 

이렇게 흔적처럼 남은 염증이, 아무런 증상이 없다면, 굳이 치료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 

정기적으로 내원하실 때마다 체크 받으시기로 했다. 



2023년 12월 28일 : 이상 없음. 

1년 만에 정기검진 및 스켈링을 위해 내원. 

"가끔씩 오른쪽 앞니가 흔들려요."


아마 #12 치아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파노라마 사진에서는 별 이상이 없어보인다. 

뿌리 염증, f/u, 파노라마

구강내를 보면, 치태가 껴서 잇몸이 조금 부어 있는 상태. 


다만, CT에서도 뿌리염증 크기가 거의 비슷하게 유지 중이고

뿌리염증 1년 f/u, CT 사진

딱히 다른 불편감은 없으시다고 하셔서, 일단 해당 부위 잇몸 치료 후 체크하시기로 했다. 


1주 뒤, 체크. 

잇몸 붓기 가라앉고 흔들림도 감소함. 

제대로 찍은 사진이 사라짐.. ㅜㅜ 

다시 정기검진 등록, 그 전에라도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연락 주시기로 함. 




2025년 2월 27일 : 통증 발생 

다시 1년이 조금 지나, 갑자기 내원하심. 

"오른쪽 앞니에 염증이 생긴 것 같아요. 

  그때 잇몸치료 받고 괜찮았는데, 얼마 전부터 갑자기 입천장쪽이 아프고, 흔들려요"


역시나, 파노라마 사진에서는 애매한데.. 

뿌리염증, 경과 체크, 파노라마 사진

CT를 찍어보니, 헉! 

#12 치아의 뿌리염증이 갑자기 심해졌다. 

뿌리염증, 갑자기 커진 근단부 병소, CT 사진
사진의 왼쪽(#12)은 확실히 검은색이 커졌고, 오른쪽(#22)은 거의 비슷.. 

바깥쪽 - 뺨쪽의 치조골이 얇아진 걸 보면, 갑자기 염증이 활동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입천장은 고름이 차서 부어오른 상태. 핀셋으로 건드려보니, 약 2도의 동요도를 보인다. 

심한 뿌리염증, 구개측 누공, 고름주머니

약 1년 전에 잇몸이 살짝 부었던 그 자린데, 부어오른 양상이 확실히 1년 전과는 다르다. 

뿌리쪽에 생긴 누공으로 고름이 새어나오는 모양, 이건 뿌리의 문제다. 


#12는 이미 치근단 수술을 받았던 치아인데 염증이 재발했으니, 어떻게 해야하나...

뿌리염증 심해짐, 1년 경과, CT


한 번 더 치근단 수술을 권해드릴 수도 있지만, 

1. 신경관 내부에 오염이 원인이면, 치근단 수술을 해도 또 염증이 재발할 수 있고..

2. 크라운을 한 상태가 아니므로, 재신경치료에 큰 부담이 없는 상태이므로..

일단은 재신경치료 후, 경과를 보면서 수술여부를 결정하시기로 했다. 


단, 재신경치료를 위해 치아 내부에 접근했을 때 치근의 파절이나 천공이 확인되면 

치료 도중에라도 발치로 이어질 수 있음을 설명드렸다. 




2025년 3월 13일 : 재신경치료 시작

무통 마취 후, 레진코어를 제거하면서 신경관 내부로 접근 시작. 

재발된 뿌리염증, 재신경치료 시작, access open


신경관을 채운 분홍색 지피콘(gp cone)이 보인다. 

여기가 신경관 입구다. 그런데 그 근처에 진한 파절선 - Crack line이 보인다. 

재발한 뿌리염증, 재신경치료, gp cone, 파절선

순간 치근 파절인가 싶어 긴장했으나, 

자세히 보니 기존에 채워놓은 레진코어 경계부가 살짝 떨어져 있는 것 같다.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crack line
치태가 잘 꼈던 자리라서 레진코어 경계가 상한 듯.. 


재신경치료를 하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어서, 첫날 재신경치료를 마저 진행한다. 

신경관을 채운 지피콘을 최대한 깨끗이 긁어내고 뿌리끝엔 플라즈마 멸균을 시행했다. 

진료가 끝난 뒤 의심스러운 파절선을 보여드리고, 

통증이나 흔들림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아무래도 발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드린다. 




2025년 3월 25일 : 재신경치료 마무리

워낙 바쁜 분이시라, 내원 간격이 길다. 

어떠셨는지 여쭤보니 다행히 괜찮다고 하신다. 

"안 아팠어요, 왠지 흔들리는 것도 줄어든 느낌이에요."

다행이다. 


무통 마취 후, 신경치료를 마저 이어간다. 

꼼꼼히 근관세척과 플라즈마 멸균을 진행하고, 뿌리끝이 깨끗해짐을 확인 후, 

2회만에 재신경치료를 마무리 한다.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근관충전
CT를 보면 알겠지만, 치근단수술을 받은 치아라 충전 모습이 이렇게 나온다.


일단 증상이 양호해지셨으므로,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수복을 해보기로 했다. 




2025년 4월 18일 : 레진코어, 잠간고정술

역시나, 워낙 바쁜 분이시라 내원 간격이 길다. 

그 동안 통증도 없었고, 흔들림도 괜찮아지는 느낌이라고 하신다. 

핀셋으로 살짝 힘을 주니, 약 1도의 동요도는 남아있는 상태. 

그래서 오늘 레진코어로 마무리 하면서, 잠간고정술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신경관 주변의 상한 치질과 함께, 첫날 봤던 굵은 crack line 주변도 조심조심 정리...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역시나, 다행히도 레진코어가 분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잇몸 주변의 얇은 치질은 초음파로 마저 정리하고, 

신경관과 무너진 벽은 레진코어로 충전.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그리고 철사 말고, 강화 섬유재질의 up-fiber를 이용해 주변 치아와 연결해준다. (fiber splint)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잠간고정술

오늘 마취를 한 김에, 치근활택술까지 시행하고 치료를 일단락. 

이제 치아에 해줄 건 다 해줬다. 

남은 건 경과를 지켜보는 일. 




2025년 6월 26일 : 경과 체크

한 달 뒤에 오시라고 했는데, 바쁘셔서 두 달이 넘어서 오셨다. 

4달 전에 심하게 부었던 입천장 쪽은 살짝 부어있긴 한데.. 

치태가 끼면서 치아와 잇몸 경계부가 부은 정도라, 다행히 뿌리염증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경과체크

가볍게 잇몸청소 해드리고, 잠간고정술도 잘 붙어있음을 확인.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잠간고정술, 치근활택


이제 CT로 경과를 비교해봐야 하는데, 다행히 미약하게나마 치유 양상을 보인다. 

뿌리염증 재발, 재신경치료, 경과체크, CT

이제 두 달 정도 후에 다시 체크해보자고 말씀드리고, 


그 동안 잊고 지냈던 #22는 무탈하신지 한 번 체크. 

뿌리염증, f/u, 2년 경과, CT

다행히도, 2년 넘게 한결같은 병소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도 방심하지 말고, #12 체크하러 오실 때마다 같이 체크하는 게 좋겠다. 


치료 요약 (?) 

#22 치아는 여전히 경과를 체크하는 중이고, 

#12의 치료는 아직 끝나지 않아서, 요약을 하기가 애매하다. 

#12 치아의 가장 확실한 치료는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하는 것이겠지만, 

발치 전에 가능한 치료가 있다면, 

이렇게 치아를 더 사용하면서 꾸준히 경과를 지켜보고, 

그에 따라 치료 방법을 수정해가는 방식도 있다. 

어쩌면 이게 더 힘들고 오래 걸릴 수도 있지만, 

환자와 술자의 동의만 있다면 이런 식의 치료 방법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글 : "입천장이 볼록하고 고름이 찼어요" - 심한 뿌리염증, 발치할까 말까 feat. 미완성 교향곡 (click)



Epilogue : 뿌염은 언제 치료하나


이 글의 초반에 나왔던, 뿌리염증의 치료 결과다. 

뿌리염증, 치료 전후, CT 사진, 신경치료, 재신경치료


심한 뿌염이라도, 이렇게 적절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료하면 잘 나을 수 있다. 

문제는 이 '적절한 시기'를 정하는 일이다. 


뿌리에 염증이 발견된 치아가, 

1. 이미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라면, 아래 3가지 경우 중의 하나다.

 1) 더 컸던 염증이 신경치료 후에 줄어드는 것일 수도 있고, 

 2) 뿌리에 생겼던 염증이 신경치료 후에도 흉터처럼 남은 것일 수도 있고, (#22 치아)

 3) 신경치료를 받았음에도 염증이 커지는 것일 수도 있다. (#12 치아)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3번 - 진행중인 염증인 경우다. 

이 경우는 간헐적인 통증(click), 잇몸에 생긴 고름주머니(click) 등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지만, 

전혀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이번 케이스처럼 꾸준히 정기체크를 통해 염증이 커지지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 

가끔, 아무런 증상 없이 조용히 커지는 염증(click)이 있기 때문이다. 


2. 신경치료를 받지 않은 치아에서 발견된 뿌리염증은

하나도 안 아프더라도, 웬만하면 미루지 않고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click)

얘는 1-1) 치료 후 염증이 줄어드는 것일 수도 없고, 1-2) 치료 후 남은 흉터일 수도 없으므로,  

빠르든 늦든 염증이 커지는 일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프지도 않고 불편감도 없는데, 치료를 받아야 한다니... 

나같아도 싫을 것 같다. 

그런데 치료를 받지 않고 놔두려면 어느 정도 대책을 세우고 놔둬야 한다. 

놔둘 때 놔두더라도,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 


후속글 : 

뿌리염증, 하나도 안 아픈데 치료해야 되나 feat. 지켜보고 있다 ep2 (click)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잠간고정술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최초진단일 : 2022.11.24 

치료기간 : 2025.02.27~ 2025.04.18

경과 체크일 : 2025.06.26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잇몸에 생긴 뾰루지 - 누공을 오래 방치하면 생기는 일 feat.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아사이 충치, 인접면 우식 - 진단에서 치료까지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