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받은 어금니가 아픈데, 뿌리에 부러진 파일 발견 feat.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신경치료 도중 파일(file)이 부러졌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다. 

그런데 예전에 신경치료 받았던 치아에 염증이 생겼고, 

하필 그 치아의 뿌리에 파일(file)이 박혀있으면,  아무래도 심란해질 수밖에 없다. 



Prologue : 통증의 시작, 불길한 예감


작년 여름. 건장한 30대 남성분이 내원하셨다. 

"오른쪽 아래가 아파요. 

  전에도 아프다 말다 했는데, 오늘 갑자기 통증이 엄청 심해졌어요."


파노라마를 미리 보는데.. 제발 끝에서 두 번째 치아는 아니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부러진 파일, 뿌리염증, 파노라마
뿌리에 뭔가 독립적인(?) 하얀색 조각이 보인다

이미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그리고 뿌리에 박힌 파일이 보이기 때문이다. 



진단 : 뿌리염증 + 부러진 파일 발견


체어에 앉혀드리고 오른쪽 아래 어금니를 하나씩 두드리는데, 바로 그 치아에서 아얏!! 하신다. 

왜 슬픈 예감은 틀린적이 없나... 

아니기를 바랐던 바로 그 치아가 현재 심한 통증의 원인인 것 같다. 




뿌리염증이 확인된다. 

부러진 파일, 뿌리염증, CT


여기서 잠깐! 

뿌리염증(뿌염)이 있다고 다 치료를 해야하는 건 아니다. (다음에 포스팅 예정)

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치료를 미루지 않는 게 좋다. 

1. 잇몸에 고름이 차고 뾰루지가 생김(click)

2. 수시로 통증이 생겼다가 사라짐이 반복됨(click) 


CT를 자세히 살펴보니, 뿌리염증의 크기는 그렇게 크진 않다. 

부러진 파일, 뿌리염증, CT
워낙 심한 뿌염을 많이 보다보니 이 정도는... 


문제는 뿌리에 박힌 파일(file)이다. 

파일 부러짐, 치근단 사진, 뿌리염증

애매한 위치에 박혀있다. 아마도 뿌리 중간 쯤에서 파일이 분리(separated)된 것 같다. 

저렇게 중간에 파일이 있으면, 

쟤가 신경관을 막고 있어서 저 아래로는 접근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파일이 부러져 있는 치아를 재신경치료 할 때는, 보통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1. 일차적으로 파일의 제거를 시도해보지만, 무리하면 안 된다. 

 - 제거 과정에서 치근이 뚫려버리면 곧바로 발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 제거가 안 되면, 우회(by-pass)를 시도한다. 

 - 박힌 파일을 피해, 새 파일로 뿌리끝에 접근을 한다. 

3. 그래도 안 되면, 되는 곳까지 멸균에 최선을 다한다. 

 - 그리고 기도한다. 


그런데 이 케이스에서 특히나 심란한 점은,  

하필 염증이 생긴 그 뿌리에서 파일이 부러져 있다는 점이다. 

뿌리염증, CT, 파일 부러짐, file separation
다른 말로, MB root에 치근단 병소가 생겼는데 file sep.이 발견된 상황

하필 거기에 염증이 생기다니......

아무튼, 이미 통증이 생긴 상황이라 이제는 치료를 더 미룰 수는 없고... 선택지는 두 가지. 

1. 변수가 없는 치료는 발치. 

2. 그리고 발치 전에 재신경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지만, 부러진 파일로 예후가 불분명함. 

지금 그 뒤에 임플란트도 탈이 난 상황이라, 그 앞에 치아까지 발치 결정이 쉽지는 않으신 듯했다. 

찬찬히 고민해보시고 마음이 정해지시면 연락을 주시기로.  



치료 :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파일은 어쩌나...

바로 다음날;;

"재신경치료 시도해보겠습니다. 오늘 그냥 그 뒤에 임플란트도 빼주세요."

큰 결심을 하고 오신 환자분. 

만성적인 오른쪽 아래의 불편감을 이번 기회에 털고 싶다고 하셨다. 

잘 나으시면 좋겠다. 


일단 재신경치료를 먼저 시작. 

무통 마취 후, 크라운을 제거하니 고약한 냄새가 확 올라온다. 

재신경치료, 크라운 제거, 부러진 파일


찬찬히 입구의 지피콘부터 제거. 

입구는 거의 다 찾았으니, 이제 내부를 청소해야지. 

재신경치료, 지피콘 제거, 부러진 파일

정신없이 오염재료를 제거하다보니 30분이 뚝딱. 오늘은 발플도 해야하니, 여기까지만. 

그리고 이어서 발플까지 진행. 

임플란트 주위염, 발플


일주일 뒤, 본격적인 2회차 신경치료를 이어간다. 

오염된 신경관을 청소하면서 멸균하다보니, 복잡한 신경관의 입구가 확인된다. 

부러진 파일, 재신경치료, 근관입구

처음 신경치료를 하셨던 선생님도 고생 많이 하셨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신경관의 세척 및 멸균은 정석대로 진행했다. 

1. 지피콘과 오염물질 제거하면서, 부러진 파일의 제거를 시도했지만 꼼짝도 안 한다. 

2. 새로운 파일로 우회(by pass)를 시도했지만, 파일이 박힌 신경관은 중간부터 완전히 막혀있다. 

재신경치료, 치근성형, 파일 부러짐, PA 사진

그래도 다행히 나머지 신경관은 뿌리끝까지 도달했다. (다른 말로, patency를 확보했다고 한다.)

여기서 저 부러진 파일을 빼겠다고 무리하다가 뿌리에 빵꾸가 나는 것보다는, 

3. 현재 상황에서 멸균에 최선을 다하고 기도하는 것이 낫다. 

대신, 부러진 파일에는 조금 높은 출력의 플라즈마를 충분히 조사해준다. 


참고로, 파일이 부러진 치아의 신경치료에 플라즈마를 사용하면 도움이 될 때가 많다. 

파일은 금속이고 플라즈마는 미세전류라서, 뿌리에 박힌 파일에 플라즈마를 조사하면

금속성의 부러진 파일과 그 주변으로 플라즈마가 흐를 수 있다. 

재신경치료, 부러진 파일, 플라즈마

물론 뿌리끝까지 확실한 멸균을 할 수는 없겠지만, 

소독약(NaOCl)보다는 확실히 효과가 좋은 것 같다. 



각 신경관마다 정성껏 멸균 후, 뿌리끝의 깔끔함을 확인하고, 2회만에 재신경치료 완료. 

재신경치료, 근관충전, 부러진 파일, 치근단사진

결국 파일이 부러진 신경관은 중간까지밖에 접근을 못했다. 

제일 염증이 심한 바로 그 신경관이다보니, 아무래도 마음이 좋지 못하다.  

그치만 이제 더 할 게 없다. 

경험상, 길게 끈다고 결과가 더 좋아지는 것도 아니므로 이제 미련을 버려야지. 



다음 차례. 재신경치료는 산 넘어 산이다. 

신경치료가 끝나면 크라운을 해야하는데, 내부 상태가 멀쩡한 경우가 거의 없다. 

재신경치료, 부러진 파일, 레진코어


오염된 레진코어를 제거하고, 주변까지 정리..

파일 부러짐,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멀쩡하게 남은 부분이 너무 없다.. ㅜㅜ

그래도 잘 수복해서, 프렙하고 구강스캔하면

재신경치료, 파일 부러짐, 레진코어


다음 번에 pmma 크라운을 셋팅할 수 있다. 

부러진 파일, 재신경치료, pmma 크라운


이제 안팎으로 할 일은 다 끝났다. 

남은 건 뿌리염증이 사라지는지, 경과를 체크하는 일이다. 

시간이 흘러... 



3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통증 재발도 없었고, 식사도 편하게 하셨다고 하신다. 

떨리는 마음으로 CT를 확인. 다행히 잘 치유 중이다. 

재신경치료, 뿌리염증, 파일 부러짐, 경과체크, CT
사진 왼쪽의 임플란트 제거 부위도 잘 치유됨


다른 각도에서도 보면, 결국 파일이 막혀서 중간까지만 멸균했던 신경관도 염증이 사라졌다. ㅎㅎ

부러진 파일, 뿌리염증, 재신경치료, 치유, CT
검은색이 흰색으로 전환



뿌리염증 치유가 확인되었으니, 이제 pmma 크라운을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교체한다.  

재신경치료, 파일 부러짐, 크라운 셋팅


무사히 발치를 피할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다.

그래도 염증의 재발 체크를 위해, 꾸준한 정기검진을 등록해드리면서 치료가 끝났다. 



치료 요약 
- 뿌리 염증 & 파일이 부러져 있었지만, 재신경치료로 잘 나음

부러진 파일, 뿌리염증, 재신경치료, 경과, 치유 양상




Epilogue


이 포스팅을 시작할 때도 언급했지만, 뿌리에 파일이 부러져있다고 다 탈이 나는 건 아니다. 

실제로 본원에서는 재신경치료를 많이 하는 편인데, 

재신경치료를 받으러 온 치아의 뿌리에서 부러진 파일이 발견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이 포스팅의 케이스만 봐도, 

부러진 파일을 그대로 두고 재신경치료를 했음에도 잘 치유되었지 않은가. 


이 케이스에서 치유가 잘 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부러진 파일에 플라즈마를가 효과를 발휘했을 수도 있고.. 

나머지 신경관들을 끝까지 잘 멸균해 준 덕분일 수도 있다. 

정확히 어떤 이유로 잘 치유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파일이 부러져있다는 이유만으로 재신경치료를 포기하는 건 조금 이르다는 생각이 든다. 


뿌리에 심한 염증이 생겼더라도 

1.치아의 흔들림이 없고, 2.심한 치주염이 동반되지 않고, 3.치근파절의 증거가 보이지 않을 때, 

발치 전 가능한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간절히 기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는 것 같다. 

참고글 : 신경치료는 잘 됐는데, 앞니 잇몸에 고름 주머니 + 심한 통증 feat. 세 번째 신경치료 (click)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4.10.28 ~ 2025.04.23

pmma 경과 체크 기간 : 약 3개월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카카오톡 플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랑니 발치 후 드라이 소켓 발생 후기 feat. 3주간의 사진

잇몸에 생긴 뾰루지 - 누공을 오래 방치하면 생기는 일 feat.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치아사이 충치, 인접면 우식 - 진단에서 치료까지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