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는 잘 됐는데, 앞니 잇몸에 고름 주머니 + 심한 통증 feat. 세 번째 신경치료
재신경치료를 하다보면,
왜 탈이 났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케이스를 가끔씩 보게 된다.
엑스레이를 보면 놓친 신경관도 없고, 신경관 충전도 훌륭하고, 크라운도 깔끔하다.
그런데 뿌리에 염증이 있다....
솔직히, 이럴 때는 재치료를 결정하기가 매우 망설여진다.
내가 재신경치료를 해서 지금보다 더 나은 상태로 만들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그래도 그냥 한다.
작년 여름, 젊은 여성분이 내원하셨다.
앞니 잇몸에 커다란 누공 - 고름주머니, 뾰루지가 보인다.
겉으로 보이는 누공이 얼마나 큰지.. 거의 치아 크기만하고,
파노라마 사진에서도 확인되는 뿌리 염증은, 거의 뿌리를 포함한 치아 크기만하다...
네이버 블로그(지금은 비공개)를 보고, 일부러 멀리서 찾아오셨다고 한다.
"5년 전에 타원에서 첫 신경치료를 받았고, 작년에 재신경치료를 받았는데..
한 일주일 쯤 전에 다시 잇몸에 고름이 차고 너무 아파서 치과에 갔어요.
거기서 일단 고름을 빼주기는 했는데, 염증이 너무 심해서 치근단수술도 안 된대요.
그래서 발치하고 임플란트 해야 된다는데.. 한 번 더 재신경치료를 받을 수 있나 해서 와봤어요."
너무나 젊은 분의 앞니가 발치 위기에 처해있다보니 마음이 참 안타깝지만,
치료가 마음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보니, 일단 정확한 진단 먼저.
CT를 찍어보니, 다행히 뿌리염증이 옆치아까지는 침범하지 않았고..
잇몸의 누공은, 뺨쪽의 치조골이 녹아서 고름이 배출되느라 생긴 것으로 보인다.
다행인 건,
1. 치아에 흔들림이 없다는 점
2. 심한 치주염이 동반되지 않았다는 점
3. 치근파절이 직접 보이지 않는다는 점
불행인 건, 이미 신경치료가 매우 잘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게 왜 불행이냐하면..
앞니인지라 놓친 신경관도 없고, 뿌리끝에까지 충전재가 잘 들어가 있기 때문에,
재신경치료를 해도 개선의 여지가 크지 않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60점이면 40점 만큼 상승이 가능하지만, 95점이면 5점 밖에 상승의 여지가 없다!
결국,
재신경치료를 시도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미 재신경치료를 정성껏 받았던 치아에 또 탈이 난 것이기 때문에
한 번 더 재신경치료를 해도 치유될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는 점을 환자분께 설명드린다.
환자분께서는 그래도 가능은 하다는 말씀에, 충분히 고민 후 연락을 주시기로 하셨고,
시간이 흘러, 약 3개월 후...
그래도 뿌리끝에는 세균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신경관 내부의 소독과 멸균을 위해, 충전된 gp cone과 실러를 제거한다.
이전 원장님께서 꼼꼼히 재신경치료를 해놓으셔서, 충전재 제거가 쉽지 않다.. ㅜㅜ
정말 꼼꼼하게 충전을 해놓았다. |
중간에 PA 사진을 찍어서 확인.
그리고 다시 조심조심 뿌리끝에 접근.. 다행히 뿌리끝에 도달했다.
잘 보면, 부근관에까지 실러가 도달해있다. |
기존의 충전물은 초음파로 세척하고, 뿌리 끝에는 충분히 플라즈마를 조사한다.
이쯤이면 신경치료를 마무리 해도 될 것 같을 정도로 근관 내부가 깨끗하다.
그래도 뿌리염증이 워낙 심한지라, 다음에 한 번 더 플라즈마를 조사하기로 하고
임시치아를 만들어서 끼워드린 후, 귀가.
앞니 치료는 임시치아를 당일에 해드려야 해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두 번째 내원일.
여러번의 플라즈마 조사 후, MTA 실러와 gp cone으로 근관 충전.
두 번째 재신경치료를 2회만에 마무리한다.
그동안에도 다행히 잇몸의 누공은 재발하지 않았다.
이제 pmma 임시치아로 치아를 보호하고,
임시치아지만, 상당히 잘 만든 pmma 크라운 |
최소 3개월 정도 경과를 보기로 했다.
1개월 체크에서는,
미미한 치유의 양상을 보여서 3개월을 마저 채우시기로 했고,
시간이 더 흘러 약 3개월 뒤..
잇몸 누공이나, 통증의 재발 없이, 임시치아로 잘 지내셨다고 한다.
그래도 CT를 통해, 내부의 치유를 확인하는데..
약 3개월 간의 치유 경과는 놀라웠다!!
누공이 생겼던 뺨쪽의 얇은 치조골벽은 두껍게 재형성되었고..
검은색 = 염증, 하얀색 = 뼈 |
옆치아까지 번질 기세였던, 커다란 뿌리염증도 일부만 남고 거의 다 치유되었다.
시간이 지나면 더 잘 치유될 것 같다 |
반가운 소식을 환자분께 전하고, 이제 pmma 크라운을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교체.
...하면서 정기검진을 등록해드리면, 치료가 마무리 된다.
다행히 발치는 안 하셔도 되었으니,
약 4개월간의 노고가 보상을 받는 순간이다.
------------------------------------------------------------------------------------------------------------------------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에 탈이 나는 이유는 다양하다.
1. 놓친 신경관이 있거나
2. 신경관 내부에 세균이 남아있거나
3. 크라운이나 레진코어의 누수로 세균이 침입하거나
4. 기타 등등 = 알 수 없음
진단과정에서 1~3으로 짐작되는 원인이 있으면,
치료 결정도 수월하고, 치료 과정에서 각별히 신경써야 할 부분이 있으니 마음이 좀 편하다.
그리고 실제로 그 부분을 개선시키면 예후도 좋다. (놓친 신경관을 찾는다든가)
그런데 4에서처럼 원인을 알 수 없으면, 참 난감하다.
재치료를 하더라도, 어딜 개선시켜야 할지 애매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기존의 치료가 매우 잘 되어 있기라도 하면,
개선의 여지도 그만큼 적다는 의미다.
그렇다고 발치를 선택하기에는 아쉬울 때..
- 몇 가지 기준(동요도, 치주염, 치근파절 등등)을 체크해서 발치를 꼭 해야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일단은 그냥 재치료를 하는 게 맞는 것 같다.
다만, 어떤 점이 문제인지 알 수 없으므로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단계를 다 엄청 신경써서 꼼꼼하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최초진단일 : 2024.08.19
치료기간 : 2024.11.27~ 2025.04.01
pmma 경과 체크 기간 : 약 3개월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