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염증이 너무 심해서, 발치를 못하고 재신경치료 먼저 feat. 칼에 깊이 찔리면 빼지 않는 이유
칼에 깊이 찔리면, 칼을 곧바로 빼지 않는 게 나은 경우도 있다고 한다.
칼을 빼고 나서 벌어지는 일 - 과다출혈 등이 우려될 때는, 칼이 꽂힌 채로 병원에 가는 게 좋다고.
마찬가지로,
뿌리염증이 너무 심한 치아는 발치를 고려하지만,
뿌염이 진짜로 너무너무너무 심하면 발치가 더 위험할 수 있다.
칼에 찔렸을 때과 마찬가지로, 치아를 빼고 나서 벌어지는 일이 감당이 안 될 것 같을 때다.
prologue
어머님과 함께 내원한, 19세 여학생.
"어금니가 며칠 전에 너무 아팠다가 지금은 좀 나아졌는데.. 또 아플까봐 너무 불안해요."
3~4년 쯤 전에 신경치료를 받았다는 오른쪽 위를 가리키신다.
진단 - 뿌리염증 확인(CT)
파노라마 사진을 보니, 이미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의 뿌리 주변에 염증이 보인다.
누차 말하지만, 파노에서 보이는 뿌염은 엄청 심각한 경우다 |
CT를 보면 구개측 치근에 심한 뿌리끝 염증이 보인다.
옆쪽 view |
이것만으로도 심각한 상황인데, 더한 문제가 앞쪽 view에서 발견된다.
상악동 바닥이 아예 없어졌다.
앞쪽 view |
위쪽 어금니의 뿌리 염증은, 맞닿은 상악동 바닥으로 퍼지는 경우가 많은데..
오래 지속된 심한 염증이 상악동의 바닥을 아예 다 녹여버렸다.
완벽한 쇼생크 탈출(click)이다.
이게 얼마나 심각한지는, 반대편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 - 파란색 화살표의 치아는 정상적인 치아다.
하얀색 치조골(뼈)이 뿌리를 둘러싸고 있고, 상악동 바닥이 뼈로 잘 구분된다.
그런데 문제가 생긴, 빨간색 화살표의 치아는 뿌리 주변에 뼈가 아예 없다.
상악동의 바닥이 그냥 녹아서 사라져버렸다.
치료계획 - 발치? 재신경치료?
뿌리끝 염증이 심하더라도 (재)신경치료로 잘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click),
염증이 너무 심해서 (재)신경치료로 치유가 어려울 것 같으면, 발치를 고려한다.
발치를 해야 뿌리염증이 확실히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치는 확실하고 변수가 적은 치료 방법이다. (물론 염증과 함께 치아도 사라진다)
그런데 뿌리염증이 너무너무너무 심해서 뼈로 된 벽이 사라지면,
발치를 포함한 그 이후의 치료가 매우 어렵고 위험해진다.
발치 후 뼈가 제대로 회복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Case의 예를 들어 잠시 설명해보자면...
아래처럼 발치를 하면 뿌리가 있던 부위는 텅 비지만, 오래 기다리면 다시 뼈로 차게 된다.
그냥 깔끔하게 발치를 원하셨던 30대 남성 환자분 |
이때, 뼈는 마치 바닥에서 물이 차오르는 것처럼.. 뼈로 둘러싸인 부분만 차게 된다.
쉽게 말해서 뼈로 된 벽이 없으면, 그 부위는 뼈가 제대로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다시 원래 케이스로 돌아와서..
이렇게 벽(바닥)이 없어진 상태로 발치를 하면 커다란 상악동 천공이 생기는데,
저 부분이 다시 뼈로 회복이 될지.. 되더라도 얼마나 걸릴지 예측이 되지 않는다.
예시로 들었던 남성분도, 저렇게 뼈가 좋았음에도 발치 후 식사까지 대략 9개월이 걸렸는데,
이런 경우라면.. 1년은 넘게 걸리지 않을까.
그 시간을 조금이라도 단축하려면 발치하면서 뼈이식을 고려할 수 있는데,
저렇게 심한 만성 염증을 깨끗이 긁어내고
바닥이 전혀 없는 상악동에 뼈이식을 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렵고 큰 수술이다.
그렇다고 뼈이식을 안 했을 때, 저기에 뼈가 안 차면? .....
그런데 재신경치료를 하면 저기에 뼈가 회복이 되긴할까..
순간, 머릿속은 전쟁터가 된다. 칼을 뽑고 이송할까, 그냥 이송할까..
잠시 말이 없어진 내게, 체어에 앉은 여학생이 조심스레 묻는다.
"이거 뽑아야 되나요?"
하아... 이제 만 20세도 안 된 어린 학생의 어금니를 뽑고 임플란트라니...
보호자분도 오셔서 이런저런 상황과 치료 방향에 대해 말씀을 드리며 서로의 생각을 정리했다.
다소 힘들고 오래 걸리더라도 발치는 최대한 피하고 싶은 환자분의 마음과 의지도 확인.
우선은 발치 없이 재신경치료를 진행하고, 한 달 간격으로 예후를 체크해보기로 했다.
그 사이 더 나빠지는 징후가 보이면 더 늦기 전에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보시고,
좋아지는 상황이면 꾸준히 경과를 체크하기로.
이렇게 F성향의 치료계획(click)을 확정했다.
치료 : 플라즈마 재신경치료 - 2회만에 마무리
무통 마취 후, 기다리는 동안 다시 CT를 본다. 왜 탈이 났을까...
재치료 대상인 치아의 이전 치료가 너무 잘 되어 있으면, 불안할 때가 있다.(click).
이전 치료보다 더 잘해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는, 최대한 뿌리 근처까지 정성껏 치료한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CT를 자세히 보니,
세 개의 뿌리 중에서 MB root의 작은 신경관(MB2 canal)은 충전이 되어 있지 않다.
이제 심하게 상한 부위를 마저 제거 후, 레진코어로 수복.
pmma 크라운으로 경과를 살펴보기로 했다.
워낙 안 좋은 상황이다보니, 꼼꼼하게 한 달 간격으로 오셔서 CT를 찍어보시기로.
경과 체크 - 처음엔 한달 간격, 이후엔 석달 간격
시간이 흘러 한 달 뒤.
시간이 얼마 흐르지 않았지만, CT를 보면 조금씩은 치유가 되고 있는 것 같다.
조금 더 경과를 지켜보기로 했다.
그리고 석 달 뒤.
드디어 CT에서 치유의 양상이 확인되기 시작한다.
구개측의 치근 주변은 많이 회복되었다. |
발치를 망설이게 만들었던 문제의 상악동 바닥은,
눈에 띄는 치유을 보이지는 않지만.. 조금씩 바닥이 회복되는 양상이기는 하다.
앞쪽 view |
다행히도, 조금씩이나마 이렇게 치유의 양상을 보이는 상황이라
이제는 pmma 말고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교체하고,
이제는 석달 간격으로 꾸준히 경과를 체크하기로 했다.
그리고 꾸준히 석달 간격으로 조금씩 치유 양상을 확인하면서 시간이 흘러,
치료 후 거의 10개월이 지난 정기체크.
드디어, 사라졌던 상악동 바닥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치료자체는 한 달 정도 걸렸지만, 회복을 기다린 세월은 무려 10개월.
이미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편하게 사용 중이라, 딱히 뭔가 더 해드릴 건 없고..
이제는 6개월 간격으로 꾸준히 정기 체크하기로 하면서 치료를 마무리 짓는다.
칼에 꽂힌 채로(?) 치료부터 경과체크까지 열심히 치료에 협조해주신 세월이 보상받는 순간.
보호자분께서도 무척 좋아하셨다.
19세 어린 학생의 어금니를 뽑지 않게 되어서, 나도 무척 기분이 좋았다.
epilogue
뿌리염증이 너무 심해서 (재)신경치료를 해도 결과가 좋지 않을 것 같을 때는, 발치를 고려한다.
발치를 하면 확실히 뿌리염증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물론 치아도 사라진다.)
그런데 가끔, 뿌리염증이 너무너무너무 심하면 발치 판단을 내리기 망설여진다.
발치 후 치유가 더 어렵고 변수도 많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발치가 더 위험해 보일 때는, 다시 한 번 (재)신경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그래도 최소한 아래의 조건은 만족할 때 치료를 시작한다.
1. 치아에 흔들림이 없고,
2. 심한 치주염이 없고,
3. 치근파절이 보이지 않을 것.
그리고 꾸준히 장기적으로 경과를 보면서, 치유 양상을 봐가면서 발치여부를 결정한다.
물론 이 과정에 시간과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고, 결과가 좋지 않아 발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해주신 분들이 (재)신경치료를 받으시지만,
경험상, 이 케이스처럼 자연치아라는 보상을 받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다.
특히나, 또 경험상, 어린 분들의 치유력이 더 뛰어난 것 같다.
심한 뿌염으로 발치 위기를 피한 치아들(click) |
치료를 결정하기도 어려웠고, 경과 체크할 때마다 가슴을 졸여야 했지만,
심한 뿌리염증의 발치 판단 기준을 넓혀준 소중한 케이스였다.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레진코어,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4.02.14 ~ 2025.06.24
pmma 경과 체크 기간 : 약 3개월
경과체크일 : 2024.12.23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