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신경치료 후 갑자기 붓고 엄청나게 아픔 : flare up (플레어 업) 실제 사례 2개

이미지
'신경치료' 하면 떠오르는 고통스러운 이미지(?) 형성에 크게 일조한 증상이 바로 flare up인데,  신경치료로 겪을 수 있는 최악의 고통 중에 하나다.  flare up 이란 원래 급격한 증상의 악화나 재발을 의미하는 의학 용어이지만,  주로 치과에서 신경치료 후 갑자기 붓고 극심한 통증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찬물에 시리고 욱신거려요" - 치경부 마모, 치경부 우식 feat. 너무 늦었어요...

이미지
"치아 목부분에 패인 거 있으면, 전부 다 떼워주세요. 오늘 다 되나요?"  치경부 마모를 전부 다 치료해달라고 요청하시는 50대 남성분.  무슨 일이 있었길래 이러시는 걸까?  약 2개월 전으로 거슬러 가보자. 

뿌리염증이 너무 심해서, 발치를 못하고 재신경치료 먼저 feat. 칼에 깊이 찔리면 빼지 않는 이유

이미지
  칼에 깊이 찔리면, 칼을 곧바로 빼지 않는 게 나은 경우도 있다고 한다.  칼을 빼고 나서 벌어지는 일 - 과다출혈 등이 우려될 때는, 칼이 꽂힌 채로 병원에 가는 게 좋다고.  마찬가지로,  뿌리염증이 너무 심한 치아는 발치를 고려하지만,  뿌염이 진짜로 너무너무너무 심하면 발치가 더 위험할 수 있다.  칼에 찔렸을 때과 마찬가지로, 치아를 빼고 나서 벌어지는 일이 감당이 안 될 것 같을 때다. 

"잇몸이 붓고 뭐가 났는데, 잇몸치료 해도 안 없어져요" feat. 잇몸 누공이 생기는 2가지 원인

이미지
잇몸이 붓고 뭐가 나면,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1. 치아의 뿌리염증 : 치아의 뿌리쪽에 여드름 같은 뾰루지가 생김 관련 포스팅 링크 (click) 2. 잇몸이 원인 : 치아와 잇몸이 연결되는 부위가 퉁퉁 부음  치료 내용은 이 글의 맨 끝에..  그런데 가끔은 뭐가 원인인지 애매할 때가 있다.  잇몸이, 치아와 잇몸이 연결되는 부위부터 뿌리쪽까지 넓게 부어 있는 경우다. 

치아사이 검은 점 = 집에서 발견된 바퀴벌레 한마리 feat.인접면 레진

이미지
집에서 바퀴벌레 한 마리가 눈에 보이면, 이미 백 마리는 숨어있다는 말이 있다.  평소 숨어 지내는 바퀴벌레 숫자가 불어나서, 이제는 눈으로도 보일 정도가 되었다는 얘긴데... 벌레 사진은 너무 징그러워서, 흐릿한 알 사진으로 대체함 인접면 충치도 비슷하다.  인접면 우식은 치아 사이 옆면에 생겨서 조용히 커지기 때문에 눈에 잘 안 보이지만,  이게 눈에 보일 정도가 되었다면 긴장해야 한다.   깊거나 큰 충치로, 신경치료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치실할 때 시큰거려요" - 인접면 충치 진단 feat. 바이트윙 + CT

이미지
인접면 충치는 치아 사이 옆면에 숨어서 커지기 때문에, 제때 발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나마 CT를 이용하면 인접면 충치 진단에 큰 도움(click) 이 되지만,   해당 치아 주변에 크라운이나 금속 충전물이 있으면, CT로는 검진이 불가능해진다.  이럴 때 도움이 되는 엑스레이 촬영법이 있는데,  바로 바이트윙(bitewing) - 교익촬영이라는 방법이다.  바이트윙 촬영에 사용되는 전용기구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 환자의 왼쪽과 오른쪽 - 양쪽에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진행된 인접면 충치에 대해,  진단과 치료 방법이 조금씩 다르게 적용된 사례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안보이고 안아픈 인접면 충치, CT로 찾아내기 feat. 인접면 레진 치료

이미지
충치가 이렇게 눈에 잘 보이면 진단이 편하다.  어둡게 비치거나, 변색, 깨지고 부스러짐 = 충치 진단 하지만 치아 사이 옆면에 생긴 인접면 충치는 대부분 눈에 잘 안 보인다.  왼쪽 : 충치 제거전 // 오른쪽 : 충치 제거 시작 치과 검진의 기본이 되는 파노라마 사진도, 인접면 충치 진단에는 별 도움이 안 될 때가 많다.  그러다보니 눈에 잘 안 보이는 인접면에 충치는 확신을 가지기 어렵고, 애매한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이렇게 애매한 심증만으로 충치 치료에 들어갈 수는 없다.  치아는 한 번 삭제하면 재생이 안 되므로, 억울한 치아를 만들면 안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치 진단에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적용(click) 해야 하는데,  한없이 넓은 마음으로 무죄추정을 하다보면, 숨은 충치가 깊어져서 사태가 심각해질 수도 있다. 심각한 상태로 치료에 들어간 인접면 충치 치아 (click) 이렇게 진단이 어려운 인접면 충치를 찾아낼 때, 치과용 CT가 큰 도움이 될 때가 있다.  주변에 크라운이나 금속 충전물이 없을 때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주변에 보철이 없는 치아에 생긴 인접면 우식의 진단에는 CT가 여러모로 유용한 점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