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뿌리염증이 심해져서 상악동염 생김 - "그냥 놔둬도 된다고 했는데..." feat. 쇼생크 탈출 ep2

이미지
엑스레이에서 뿌리염증이 발견되면, 다 치료를 해야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가능하면 빨리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잇몸의 누공 - 뾰루지, 고름주머니(click) 가 생김  2. 씹거나 건드릴 때, 혹은 가만히 있어도 통증 (click) 이 있음  3. 최소 3개월 이상 간격으로 찍은 엑스레이에서 염증이 커짐을 확인  - 종종 특별한 증상이 없이 조용히 진행되는 뿌리염증도 있으므로 ( 내향적인 I성향 치아 ),  - 확인된 뿌리염증은 정기적으로 엑스레이를 찍어보면서 염증이 커지는지 체크하면 좋은데,  - 그 전에라도 1번과 2번의 상황이 생기면 치료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이 포스팅은 3번의 상황에 관한 이야기이다. 

운좋게 발견된 인접면 충치, 안아픈데 치료할까 말까 feat. 인접면 레진

이미지
인접면 충치는 발견이 무척 어렵다.  치아사이 딱붙은 면에서 발생하고 진행되므로 , 심해져서 커지기 전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천천히 진행되다보면 시림이나 통증의 증상도 거의 없다.  그러다보니, 충치가 한참 심해져서 이미 신경치료 직전에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글 :  치아사이 충치, 인접면 우식 - 진단에서 치료까지 feat. 신경치료는 싫어요 수많은 인접면 충치들.. 이렇게 심해질 때까지 잘 모를 수 있다. 그런데 가끔씩은, 운좋게(?) 발견되는 인접면 충치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얘기를 해보고 싶다. 

갑자기 어금니에 음식이 끼는 다양한 이유 feat. 최소삭제 인접면 레진치료

이미지
  전에는 안 그랬는데 어느 순간부터 어금니에 음식이 끼기 시작했다면,  치아 사이에 공간이 생겼는지를 의심해 봐야 한다.  작은 틈을 돌파하는 메시처럼, 음식물도 공간을 파고든다 이유는 크게 보면 다음과 같다.    1. 강한 교합력에 의해 치아가 깨짐 - case 1  2. 충치로 인해 치아가 부스러짐 - case 2  3. 치아가 움직이면서 치아 사이가 벌어짐 - case 3 음식이 안 끼게 하려면 넓어진 치아 사이 공간을 막아줘야 하는데,  손상된 치아를 수복할 때는 항상  가난한 새의 마음 으로 임한다.  꼭 필요한 만큼만 깎고 필요한 만큼만 채워야,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좋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위의 3가지 요인에 의해 갑자기 어금니에 음식물이 끼면서 불편했던 케이스를 포스팅하려 한다. 

"입천장이 볼록하고 고름이 찼어요" - 발치할까 말까 feat. 미완성 교향곡

이미지
슈베르트의 8번 교향곡은 2악장까지 밖에 없다.  4악장이라는 온전한 형태를 갖추지 못했기에 슈베르트는 생전에 이 곡을 발표하지 않았고, 사후 43년이 지나서야 악보가 발견되어 초연이 시작됐다.  미완성의 형태지만 너무나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키며 사랑받는 곡이 되었고,  그래서 이제는 '미완성 교향곡'하면 슈베르트의 8번 교향곡을 의미한다.  치과 진료를 하다보면, 미완성이 예상되는 경우가 있다.  온전하게 완성하지 못할 바에는 아예 시작을 하지 않는 게 나을까,  아니면 미완성의 형태라도 치료를 진행하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나을까.   

신경치료는 잘 됐는데, 앞니 잇몸에 고름 주머니 + 심한 통증 feat. 세 번째 신경치료

이미지
재신경치료를 하다보면,  왜 탈이 났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케이스를 가끔씩 보게 된다.  엑스레이를 보면 놓친 신경관도 없고, 신경관 충전도 훌륭하고, 크라운도 깔끔하다.  그런데 뿌리에 염증이 있다....  솔직히, 이럴 때는 재치료를 결정하기가 매우 망설여진다.  내가 재신경치료를 해서 지금보다 더 나은 상태로 만들 수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그래도 그냥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