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중단했던 치아가 갑자기 아픔 feat. 치근의 내흡수
극심한 치통으로 내원하신 환자분.
신경치료를 받던 치아가 너무 아프다고 하신다.
엑스레이를 보니, 신경치료가 끝나지 않은 것 같은데...
치과가 너무 무서워서 못 가셨다는데,
언제 치료를 받으셨냐고 여쭤보니, 1년 6개월 되셨다고 한다....
CT를 찍어보니, 심각하다.
극심한 통증으로 신경치료를 시작하면, 일단 통증은 대부분 감소한다.
하지만 신경치료를 마무리 하지 않으면, 내부의 세균은 다시 번식하여 신경관을 가득 채우고
서서히 번식하다가 때가 되면 다시 통증을 일으킨다.
그 사이에 치근 내부의 상황은 더 나빠진다.
이런 상황을 잘 설명드리고 재신경치료를 시작한다.
일단 치과 진료에 너무 거부감이 많으신 환자라, 잘 안심시켜드리고
마취도 신경써서 안 아프게.. 무통 마취기로 여러번 나눠서 진행한다.
다행히 2회만에 신경치료가 마무리 되었다.
신경치료에 플라즈마를 쓰면서 신경치료 횟수는 2회를 넘기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 같다.
그 사이 통증도 사라져서, 크라운을 셋팅하고 정기점검을 등록.
6개월 뒤, 내원하셨다.
다른 부위가 불편해서 내원하셨다는데, 혹시나 일이 커질까봐 이번에는 미리 방문하셨단다.
치과에 대한 공포감이 많이 줄어드신 모습.
그래도 지난번 치료 받은 부위가 걱정이 되니, CT로 경과를 체크한다.
다행히 6개월만에 뿌리염증도 잘 낫고, 치근 내부도 양호하다.
어느 정도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될 듯 하다.
다시 정기검진 등록을 해드리고 치료 마무리.
신경치료를 진행할 때는 일시적으로 근관내에 세균이 줄어들지만,
3~4일 정도 지나면 근관 내부에 세균이 다시 원래 정도의 수로 늘어난다고 한다.
그래서 세균이 다시 번식하지 못하도록 근관 내부를 충전하고,
크라운을 씌워서 재감염을 막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이 과정을 꼼꼼히 해도 나중에 탈이 나는 경우가 있다.
그만큼 신경치료는 어렵고 힘든 치료다.
---------------------------------------------------------------------------------------------------
본 포스팅은 의료법 제56조 1항의 의료법을 준수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실제 내원 환자분의 동의하에 공개된 사진이며,
동일한 환자분께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였습니다.
치료 내용 : 재신경치료, 크라운
치료 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 : 재신경치료, 발치
치료기간 : 2023.02.07~ 2023.03.04
경과체크일 : 2023.09.21
개인에 따라 진료 및 치료방법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효과와 부작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을 안내드리고 동의하에 치료 진행합니다.
진료 전 전문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권해드립니다.
---------------------------------------------------------------------------------------------------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링크로 문의해주세요
댓글
댓글 쓰기